본문 바로가기
👩🏻‍💻TECH/개념정리

[개념정리] 고객생애가치(LTV)

by Alicia03 2024. 9. 11.

👀모든 포스팅은 직접 이미지와 글을 작성하고 있습니다. 사용하실 때는 꼭 링크와 출처를 남겨주세요

❤️LTV(Lifetime Value)란?

LTV(Lifetime Value), 고객생애가치는 CLT(Customer Lifetime Value)라고도 불리우며 주로 서비스의 Acqusition(사용자 획득), Revenue(이익) 단계에서 활용하는 지표로 고객이 가져다줄 기대 가치를 살펴보는 지표이다. 

 

CLV(Customer Lifetime Value)라고도 불리며, 한 명의 고객이 서비스를 이용하는 전체 생애 동안 비즈니스에 가져다줄 것으로 예상되는 기대 가치

 

📟LTV의 계산 방식 

LTV를 계산하는 방식은 다양하지만 이 중 가장 대표적이고 간단한 공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평균 구매 금액 X 마진율 X 구매 빈도(횟수) X 고객 수명 - (고객 획득비용 + 고객 유지비용)

 

여기서 '마진율'은 매출액에서 매출 원가를 뺀 순수익의 비율을 계산한 것으로 {(매출- 매출원가) /매출} X 100 로 계산한다. 그리고 '고객수명'은 고객이 유지되는 기간을 이른다. 

 

이 공식을 쪼개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평균 구매 금액 X 마진율'은 구매가 일어났을 때 발생하는 순수익을 말한다.
  • '구매빈도 X 고객 수명'은 고객이 유지되는 동안 총 몇 번의 구매가 벌어지는지를 뜻한다. 
  • (고객 획득 비용 + 고객 유지비용)은 고객을 획득하고 유지하는 데 비즈니스가 지출한 비용을 뜻한다.

 

따라서 정리하면 고객이 유지되는 기간 중 일어난 구매에서 남긴 이익에서 고객을 획득 및 유지하는 데에 지출한 비용을 제한 금액이 LTV라고 할 수 있다.

 

✨LTV의 중요성 

LTV가 중요한 이유는 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인사이트 때문이다. 

 

킨들 사업의 경제학에 대해 생각할 때, 우리는 전체적인 시각에서 봅니다. 우리는 그 기기의 ‘생애 가치(lifetime value)’를 고려합니다. 기기 또는 악세사리 자체의 순익을 생각하지 않고 그 안에 들어가는 컨텐트(content)에 주목합니다. -아마존 CFO Tom Szkutak (데이터리안에서 재인용, CNET)

 

즉, 한번의 구매에서 오는 이익을 생각하기 보다는 보다 큰 그림에서 비즈니스가 얻을 수 있는 가치가 무엇인지 생각하게 된다는 점이다. 

 

LTV를 염두에 둔다면 당장의 마진율이나 구매 금액을 높이지 않아도 빈도, 고객 수명을 늘리는 전략 등을 구사해볼 수도 있고 이를 통해 보다 큰 규모에서, 장기적으로 비즈니스 전체에 이익을 가져다 줄 수 있을 것이다.

 

📒 참고문헌

데이터리안 | 매출 분석 (3) LTV(고객 생애 가치), LTR(고객 생애 매출) 왜 필요하고 어떻게 계산할까?

 

매출 분석 (3) LTV(고객 생애 가치), LTR(고객 생애 매출) 왜 필요하고 어떻게 계산할까?

실무에서는 추산이 들어가야 하는 1인당 평균 서비스 비용, 고객 유지 비율을 생략하고 고객 당 매출을 빠르게 계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datarian.io

코드잇 | 지표 이해하기

 

지표 이해하기 - 강의 | 코드잇

매출, 구매 전환율, 유지율 등 비즈니스와 프로덕트가 잘 운영되고 있는지 파악하는 데 도움을 주는 정량적인 측정 항목을 지표라고 합니다. 이번 토픽에서는 AARRR 프레임워크를 중심으로 실무

www.codeit.kr

 

 

 벨로그 원문 

[Weekly] 고객생애가치(LTV)

 

[Weekly] 고객생애가치(LTV)

🇶고객 생애 가치(LTV)를 계산하는 방법과 이 지표가 중요한 이유를 설명해 주세요. 예시를 포함해 주세요.

velog.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