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통계4 [통계] 누적 분포 함수(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 👀 이 글에는 『Introduction to Basic Statistics in Python』의 내용 일부와 코드 문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런 것들을 다뤄요통계 분석에서 자주 등장하는 누적 분포 함수(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의 개념과 공식을 다루고 『Introduction to Basic Statistics in Python』 의 예제 코드를 작성해봅니다. - 누적 분포 함수란?- 공식- 원리 1) 이산형 확률 변수 2) 연속형 확률 변수 - 누적 분포 함수 예제 코드 💭 누적 분포 함수란?누적 분포 함수(CDF, 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 / 누적 확률 분포)는 특정 값 x 이하의 확률을 나타내는 .. 2024. 12. 20. [통계] F 분포, t 분포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런 것들을 다뤄요 통계 분석에서 자주 등장하는 t-분포와 F-분포의 개념과 공식, 활용을 다룹니다. 1. t분포 - 개념 - t분포의 유래- 공식-활용 2. F 분포 - 개념- 공식- 활용 추가) 그래프 비교1. t 분포 💭개념t-분포는 모집단의 분산(또는 표준편차)을 알 수 없을 때, 작은 표본(n 으로부터 모집단의 평균을 추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확률분포이다.정규분포와 모양이 비슷하지만, 꼬리가 두껍다. 이는 표본 크기가 작을수록 변동성이 크기 때문이다.표본의 크기가 커질수록 t-분포는 정규분포에 가까워진다.데이터의 불확실성을 반영한 분포라고 보면 된다. 여기서는 30개의 표본을 기준으로 두었지만 표본의 크기는 맥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모집단의 크기를 고려해야 하며 이에.. 2024. 12. 15. [통계] 가설검정방법의 선택과 t-test 👀모든 포스팅은 직접 이미지와 글을 작성하고 있습니다. 사용하실 때는 꼭 링크와 출처를 남겨주세요여기서는 가설검정방법을 선택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점과 검정에서 많이 사용하는 t-test를 알아본다. 🧐적합한 가설검정 방법의 선택방법🔍고려해야 할 것들적합한 가설 검정 방법을 알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을 고려해야 한다. 1. 데이터의 유형 1) 수치로 표현되는 양적변수(quantitative variable)인가? 2) 그룹으로 구분되어 측정되는 범주형 변수(categorical variable)인가?2. 양적변수의 경우 - 양적변수의 성질양적변수의 경우에는 변수의 성질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왜냐하면 이것이 검정의 기본 가정이자 조건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양적변수가 어떤 분산을 따르는지도 .. 2024. 9. 2. [통계] 사분위수, 기술통계, 추론통계 👀모든 포스팅은 직접 이미지와 글을 작성하고 있습니다. 사용하실 때는 꼭 링크와 출처를 남겨주세요🌔사분위수(Quartile) 사분위수는 데이터값을 일정한 4개의 부분으로 나눈 수. 백분위수의 한 가지 유형이다. 첫번째 사분위수(Q1, the lowest quartile)는 25번째 백분위 수이며 데이터의 25%는 이 수치의 아랫부분(below)에 속한다. 두번째 사분위수(Q2, the median)은 50번째 백분위 수이며 데이터의 50%가 이 아래에 속한다. 세번째 사분위수는(Q3, the upper quartile)은 75번째 백분위수이며 75%의 데이터가 이 아래에 속한다. 📈기술통계(Descriptive statics)와 추론통계(Inferential statics)기술통계는 전체 자료를.. 2024. 8. 2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