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ECH/비즈니스

이벤트 데이터 로그 설계(Event Taxonomy)

by Alicia03 2024. 10. 14.

👀모든 포스팅은 직접 이미지와 글을 작성하고 있습니다. 사용하실 때는 꼭 링크와 출처를 남겨주세요

🪵이벤트 데이터 로그 설계(Event Taxonomy)란?

로그는 서비스에서 누가, 언제,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하는지에 대한 기록을 뜻한다.

로그를 기록하기 위해서는 어떤 로그를 어떻게 받을 것인지를 정해주어야 하는데 이를 로그설계라고 부른다.  

📑Tracking Plan과 주요 구성 요소 

로그설계를 하기 위해서는 Tracking Plan이라고 불리는 문서를 작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Tracking Plan (=Event Taxonomy) 
Tracking Plan은 설계한 로그의 내용을 체계적으로 기록해두는 문서를 뜻하며, 로그 명세서, 로그 기획서, 이벤트 정의서 라고 불리우기도 한다. 

 

Tracking Plan에서는 유저의 정보인 User Property 보다는 Event Property를 기록하게 되는데 로그를 기록할 때 고려해야 할 세 가지 구성 요소는 Event, Attribute, Trigger이다. 

 

1. Event

- '사용자가 무엇을 하였는가?'에 대한 내용이다. 

e.g. enter.main_page, click.product_image

 

2. Attribute

- 특정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기록할 때 어떤 정보를 기록해야 하는지를 정해주는 부분이다. 

e.g. 어떤 화면에 진입했는지, 어떤 상품을 클릭했는지

 

3. Trigger 

- 사용자가 구체적으로 어떤 행동을 할 때 이 이벤트 로그를 기록할지를 설정하는 부분이다. 

e.g. 홈페이지에 사용자가 들어왔을 때, 사용자가 제품 이미지를 클릭 했을 때

- 특히 노출의 경우, '이미지가 100% 화면에 노출되었을 때'와 같이 정확한 기준이 되는 수치를 찍어주는 것이 중요하다. 

 

❗로그 설계시 고려해야 할 점

1) 목적성

- 로그를 설계하는 명확한 목적이 있어야 한다.

- 한 화면에도 수십, 수백가지의 로그를 기록할 수 있다. '무엇'을 보고자 하는지, 그것으로 어떤 가설을 검증하려 하는지가 설정되어 있어야 필요한 로그를 필요한 방식으로 수집할 수 있다.

 

2) 유용성 

- 직관적이고 구체적인 이름, 하나의 이벤트에 하나의 정보를 담아서 분석이 용이해야 한다.

 

3) 통일성 

- 이벤트의 이름은 통일된 체계 아래 기록되어야 한다.

- 같은 이벤트로그라도 다음과 같이 다른 이름으로 정의한다면 추후 분석이 어려울 수 있고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e.g. e.g. play_video, click_play_button, watch_content

 

📒참고문헌  

양현승 | 이벤트 로그 체계 구축 여정

문소윤 | 이벤트 택소노미 완벽 설계하기(1) (ft. 네이버 시리즈)